도서명 | 식료본초학 |
---|---|
요약설명 | 210여 가지 식재료의 본초학적인 관점과 식품학적인 관점을 종합적으로 정리 |
정가 | |
할인가 | 35,700원 |
적립금 | 360원 (1%) |
저자 | 편저 : 김규열, 박성혜, 양미옥, 최윤희 |
도서정보 | 4×6배판 / 고급양장 / 2도 / 478p / 판수 : 제3개정판 |
발행일 | 2016-03-25 |
ISBN | 978-89-88676-90-5 |
SNS 상품홍보 | |
---|
옵션선택 |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10여 가지 식재료의 본초학적인 관점과 식품학적인 관점을 종합적으로 정리
식료본초란 음식으로 사용하는 일체의 약물과 약물로 사용되는 일체의 식료를 동시에 가리키는 말입니다.
식료본초는 약선과도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식료를 목적으로 만들어지고 응용되는 음식이
바로 약선이며 약선의 재료가 식료본초이기 때문입니다.
현재까지는 각종 식재료에 대하여 식품영양학적인 입장에서 쓰여진 책들은 많으나 식료학적인 견지에서
쓰여진 책들은 거의 없는 실정입니다.
현대의학으로는 근본적으로 고칠 수 없는 난치병들이 대부분 먹는 것으로 인하여 고질적인 병이 생긴다는 것이
속속 밝혀지면서 자연 건강법을 배우는데 식료학에 대한 전문 서적의 필요가 절실한 실정입니다.
이에 따라 4명의 교수가 오랫동안 연구를 거듭한 결과 그동안 경험과 연구 과정에서 얻어진 210여 가지 식재료의
본초학적인 관점과 식품학적인 관점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식료본초학을 만든 것입니다.
이것은 이론적인 기본 토대는 전통한의학 또는 약선학적인 관점에 두되 현대 식품학적인 관점을 상당 부분 수용해서
전문적인 식료의 길로 인도하였습니다.
총론에서는 본초학의 정의와 가장 핵심적인 본초의 성능에 대해서 논술하고 각론에서는 각 식료, 식약재료에 대해서
이명, 기원, 성미, 귀경, 효능, 주치, 용량법, 주의사항, 보충해설, 응용례, 참고문헌 등을 기술하여 학생과 연구원들에게
가급적 여러 가지로 많은 참고가 되도록 하였습니다.
- 세부 목차 생략 -
총론
제1장. 식료본초학의 정의
제2장. 식료본초의 성능(性能)
1. 사기(四氣)
2. 오미(五味)
3. 승강부침(升降浮沈)
4. 귀경(歸經)
5. 약물의 유독(有毒), 무독(無毒)
제3장. 식료본초의 분류
1. 원료속성에 따른 분류
2. 효능에 따른 분류
3. 체질에 따른 분류
제4장. 식료본초의 포제, 제제
1. 포제의 개념 및 작용
2. 포제(炮製) 방법
3. 제제(製劑)
각론
제1장. 양식류(糧食類)
1. 곡물류(穀物類)
2. 서류(薯類)
3. 두류(豆類)
제2장. 채소류(蔬菜類)
1. 엽경류(葉莖類)
2. 근경류(根莖類)
3. 과채류(果菜類), 과가류(瓜茄類)
제3장. 과실류(果實類)
1. 인과류(仁果類)
2. 핵과류(核果類)
3. 장과류(漿果類)
4. 견과류(堅果類)
5. 열대과일류
제4장. 버섯류
제5장. 식육류(食肉類)
1. 수육류(獸肉類)
2. 금육류(禽肉類, 鳥肉類)
제6장. 유제품과 난류(卵類)
제7장. 수산류(水産類)
1. 어 류(魚類)
2. 기타 수산류(水産類)
제8장. 조미류(調味類)
부록
식료본초 성미효능표
게시물이 없습니다
게시물이 없습니다